python 99
- [Python] asyncio 파헤치기 - ④ 동시성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구현하기
- [Python] Coroutine이 Thread 보다 가벼운/빠른 이유
- [Python] Thread-Local과 Context-Local
- [Python] Singleton을 사용하는 다섯 가지 방법
- [Python] 메타클래스(Metaclass)
- [Algorithm] Quick Select: K 번째 원소 찾기
- [Python] 파이썬의 반올림은 사사오입? 오사오입? (+ 부동 소수점, Decimal)
- [Python] 간편하게 행렬 뒤집기 & 회전하기 (+ zip(), [::-1])
- [Algorithm] Undirected & Directed Graph의 Cycle Detection
- [Python] list와 dict의 내부 구현과 시간 복잡도 (+ 동적 배열, 해시 충돌)
- [Python] asyncio 파헤치기 - ③ 동시성이 달성되지 않는 상황
- [Python] asyncio 파헤치기 - ② 코루틴, 태스크, 퓨처, Awaitable
- [Python] asyncio 파헤치기 - ① 배경 지식 정리
- [Python] pyproject.toml 파일의 역할 (+ poetry, 파이썬 패키징)
- [Python] 클래식 코루틴(Classic Coroutine)
- [Python] 동시성(Concurrency): 쓰레드, 프로세스, 코루틴 (+ Spinner 예제)
- [Python] 파이썬은 왜 느릴까?
- [Python] GIL(Global Interpreter Lock, 전역 인터프리터 락)
- [Effective Python] 모아보기
- [Better Way #54] 스레드에서 데이터 경합을 피하기 위해 Lock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53] 블로킹 I/O의 경우 스레드를 사용하고 병렬성을 피하라
- [Better Way #52] 자식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subprocess를 사용하라
- [Algorithm] 유클리드 호제법(Euclidean Algorithm): 최대공약수(GCD)와 최소공배수(LCM) 구하기
- [Better Way #51] 합성 가능한 클래스 확장이 필요하면 메타클래스보다는 클래스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라
- [Algorithm] Kadane’s Algorithm: 연속 부분 수열의 최대 합 구하기 (+ DP의 Space Complexity 최적화하기)
- [Python] Sequence에서 홀수 번 등장하는 원소 찾기 (w/ Hash Table)
- [Python] Bitwise & 연산을 이용하여 홀수 판단 하기
- [Algorithm] Floyd’s Cycle Detection: Linked List에 Cycle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
- [Better Way #50] __set_name__으로 클래스 애트리뷰트를 표시하라
- [Better Way #49] __init_subclass__를 사용해 클래스 확장을 등록하라
- [Better Way #48] __init_subclass__를 사용해 하위 클래스를 검증하라
- [Python] Bitwise & 연산을 이용하여 여러 Dictionary 간 교집합 구하기
- [Better Way #47] 지연 계산 애트리뷰트가 필요하면 __getattr__, __getattribute__, __setattr__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46] 재사용 가능한 @property 메서드를 만들려면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라
- [Python] heapq 우선순위 큐에서 최솟값 추출하기
- [Python] 파이썬의 동작 원리: 인터프리터 언어, 컴파일 언어, 그리고 CPython
- [Better Way #45] 애트리뷰트를 리팩터링하는 대신 @property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44] 세터와 게터 메서드 대신 평범한 애트리뷰트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43] 커스텀 컨테이너 타입은 collections.abc를 상속하라
- [Better Way #42] 비공개 애트리뷰트보다는 공개 애트리뷰트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41] 기능을 합성할 때는 믹스인 클래스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40] super로 부모 클래스를 초기화하라 (+ MRO)
- [Better Way #39] 객체를 제너릭하게 구성하려면 @classmethod를 통한 다형성을 활용하라
- [Better Way #38] 간단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클래스 대신 함수를 받아라
- [Better Way #37] 내장 타입을 여러 단계로 내포시키기보다는 클래스를 합성하라
- [Python] 숫자의 각 자릿수 구하기
- [Python] 10진수를 n진수로 변환하는 함수
- [Python] match-case 문, else 절
- [Python] 문자열 내 다중 공백 하나로 줄이는 방법
- [Python] 컨텍스트 매니저 프로토콜(Context Manager Protocol)과 with 문
- [Python] 이터러블(Iterable), 이터레이터(Iterator), 제너레이터(Generator)
- [Python] 데코레이터(Decorator)
- [Python] 스코프(Scope)와 클로저(Closure)
- [Python] 정렬 기준 커스터마이징 하기
- [Python] 추상 기반 클래스(Abstract Base Class), collections.abc 모듈
- [Python] 타입(Type): 덕 타이핑(Duck Typing), 이름 기반 타이핑(Nominal Typing)
- [Python] Data Class Builder: collections.namedtuple, typing.NamedTuple, @dataclass
- [Python] 가비지 컬렉션(Garbage Collection): 객체를 삭제하려면?
- [Python] 가변성(Mutability)과 불변성(Immutability): 튜플은 항상 불변일까?
- [Python] 얕은 복사(Shallow Copy)와 깊은 복사(Deep Copy)
- [Python] ==와 is의 차이점
- [Python] First-Class Object, Higher-Order Function, 그리고 함수형 프로그래밍
- [Better Way #36] 이터레이터나 제너레이터를 다룰 때는 itertools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35] 제너레이터 안에서 throw로 상태를 변화시키지 말라
- [Better Way #34] send로 제너레이터에 데이터를 주입하지 말라
- [Better Way #33] yield from을 사용해 여러 제너레이터를 합성하라
- [Better Way #32] 긴 리스트 컴프리헨션보다는 제너레이터 식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31] 인자에 대해 이터레이션할 때는 방어적이 돼라
- [Better Way #30] 리스트를 반환하기보다는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29] 대입식을 사용해 컴프리헨션 안에서 반복 작업을 피하라
- [Better Way #28] 컴프리헨션 내부에 제어 하위 식을 세 개 이상 사용하지 말라
- [Better Way #27] map과 filter 대신 컴프리헨션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26] functools.wraps을 사용해 함수 데코레이터를 정의하라
- [Better Way #25] 위치로만 인자를 지정하게 하거나 키워드로만 인자를 지정하게 해서 함수 호출을 명확하게 만들라
- [Better Way #24] None과 독스트링을 사용해 동적인 디폴트 인자를 지정하라
- [Better Way #23] 키워드 인자로 선택적인 기능을 제공하라
- [Better Way #22] 가변 위치 인자를 사용해 시각적인 잡음을 줄여라
- [Better Way #21] 변수 영역과 클로저의 상호작용 방식을 이해하라
- [Better Way #20] None을 반환하기보다는 예외를 발생시켜라
- [Better Way #19] 함수가 여러 값을 반환하는 경우 절대로 네 값 이상을 언패킹하지 말라
- [Better Way #18] __missing__을 사용해 키에 따라 다른 디폴트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두라
- [Better Way #17] 내부 상태에서 원소가 없는 경우를 처리할 때는 setdefault 보다 defaultdict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16] in을 사용하고 딕셔너리 키가 없을 때 KeyError를 처리하기보다는 get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15] 딕셔너리 삽입 순서에 의존할 때는 조심하라
- [Better Way #14] 복잡한 기준을 사용해 정렬할 때는 key 파라미터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13] 슬라이싱보다는 나머지를 모두 잡아내는 언패킹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12] 스트라이드와 슬라이스를 한 식에 함께 사용하지 말라
- [Better Way #11] 시퀀스를 슬라이싱하는 방법을 익혀라
- [Effective Python] 파이썬의 딕셔너리(dict) 타입
- [Better Way #10] 대입식을 사용해 반복을 피하라
- [Better Way #09] for나 while 루프 뒤에 else 블록을 사용하지 말라
- [Better Way #08] 여러 이터레이터에 대해 나란히 루프를 수행하려면 zip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07] range 보다는 enumerate를 사용하라
- [Better Way #06] 인덱스를 사용하는 대신 대입을 사용해 데이터를 언패킹하라
- [Better Way #05] 복잡한 식을 쓰는 대신 도우미 함수를 작성하라
- [Better Way #04] C 스타일 형식 문자열을 str.format과 쓰기보다는 f-문자열을 통한 인터폴레이션을 사용하라
- [Better Way #03] bytes와 str의 차이를 알아두라
- [Better Way #02] PEP 8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라
- [Better Way #01] 사용 중인 파이썬의 버전을 알아두라